don’t try this shit at home


@kohyosub   lettertokys@gmail.com   painting   text


"샐녘에도 대낮처럼 환했다."

"夜明けでも昼間のように明るかった。"    
               
"Even at dawn, it was as bright as midday.



나는 모순인간 이랄까.
어릴 때 처음 목격하게 된 엄마에 대한 모순. 아빠에 대한 모순. 형에 대한 모순. 친구들에 대한 모순.
그리고 나 자신에 대한 모순.
아, 나를 조금은 이해해보려면 이 감정을 온전히 마주해봐야겠구나 싶어 회화로 풀어보고 있다.

俺は矛盾人間だわ。
ガキの時、初めて見た母への矛盾。父への矛盾。兄への矛盾。友達への矛盾。
そして自分への矛盾。
あー、自分をちょっとでも分かりたいなら、この感情に真正面ぶつかるしかねえ。だから今、絵で出してる。

I’m contradiction human, kinda.
First time kid I saw contradiction to mom. Contradiction to dad. Contradiction to brother. Contradiction to friends.
And contradiction to myself.
Ah, if wanna understand me little, gotta stand this feeling straight. So now painting it out.


러시아 문학은 이름 외우기가 힘들어.

ロシア文学は名前を覚えるのが大変だ。    
               
It's hard to remember names in Russian literature.


투명하고 색 빠진 두꺼운 유리 바닥 위에 씨커먼 거미가 발 끝으로 가만히 서 있다.
몇 개의 눈동자만 밤의 소화전 빛처럼 생명력을 뿜어내고 있었는데, 그 빛을 따라가니 모퉁이에는 계단이 있었다.  

透明で色あせた厚いガラスの床の上に、真っ黒なクモがそっと足先で立っている。
いくつかの目だけが、夜の消火栓の光のように生命力を放っていた。その光を辿ると、角に階段があった。

On a thick, transparent, and faded glass floor, a pitch-black spider stands still on the tips of its legs.
Only a few of its eyes emitted life, like the glow of a fire hydrant at night. Following that light, I found a staircase at the corner.


자연의 어둠보다 도시의 빛이 편해 나는.

自然の闇よりも、街の灯りのほうが落ち着く。

I feel more at ease with the city lights than the darkness of nature.


우리 삶에서 가장 아름답고 깊은 것들은 전혀 이성적이지 않다.

私たちの人生で最も美しく深いものは、まったく理性的ではない。

The most beautiful and profound things in our lives are not rational at all.
 


나에게 20세기 영국의 화가들은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들보다 훨씬 와닿는다.
그중 베이컨, 프로이드, 아우어바흐 이 세 명의 트리오는 화가의 끝을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그들 개인의 서사와 시대에 맺고 있던 관계 그리고 회화로 풀어내는 방식.
그들만큼 진실에 가까워지기를! 그리고 그들만큼 멀리 갈 수 있기를!

俺にとって20世紀イギリスの画家たちは、ルネサンスの天才なんかよりずっと響く。
その中でもベーコン、フロイド、アウアーバッハ、この三人のトリオは絵画の限界を見せつけた。
彼らの個人的な物語、時代との関わり方、そして絵でぶちまけるやり方。
俺もあの連中みたいに真実に近づきたいし、あの連中みたいに遠くまで行きたい。

For me, the painters of 20th-century Britain hit harder than the geniuses of the Renaissance. Bacon, Freud, and Auerbach — that trio showed the end of painting. Their personal stories, their bond with their time, and the way they pushed it all through paint. I want to get as close to the truth as they did, and go as far as they went.


언제 바뀔지 모를 한없이 흔들리는 생각이지만, 내 작업은 삶의 기록이자 항상 마주하는 것들과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를 위함인 듯하다. 결정적으로 이 짓거리를 해야 내가 살 수 있다고 느끼지만, 어쩔 때는 괜한 집착과 강박 같기도 하다.

俺の作品は、人生の記録であり、毎日ぶつかるものや人間の存在について理解しようとするためのもんだ。結局、このクソみたいなことをやらなきゃ生きてるって感じられねえ。でも時々は、ただの無駄な執着と強迫観念にしか思えねえ。

My work is basically a record of my life and a way to deal with the crap I face every day, and maybe to get a grip on what it means to exist as a human. Bottom line, I need to do this shit to feel alive, but sometimes it just feels like pointless obsession and fucked-up compulsion.


무턱대고 서양화의 재료들을 사용하다 보니 염증을 느꼈다.
그렇다고 전통적인 동양화의 재료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나만의 재료를 찾아보고 싶다는 마음에 내가 살아온 삶을 대입해 보았다.
투명한 얇은 한지를 찾게 되었고, 그 위에 서구의 재료를 섞어 겹치고 투영하기 시작했다.
예측 불가능함과 예측 가능함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 보려는 현명한 미련함이 꼭 내 삶과 닮아 있었다.

無鉄砲に西洋画の素材を使っていたら、だんだん嫌気が差してきた。
だからといって、伝統的な東洋画の素材にはまったく興味がなかった。
自分だけの素材を探したいと思い、歩んできた人生を重ね合わせてみた。
そこで見つけたのが透明で薄い韓紙で、その上に西洋の素材を混ぜて重ね、透かし始めた。
予測不能と予測可能のあいだでバランスを取ろうとする賢い愚かさは、まるで自分の人生そのものだった。

I kept using Western painting materials without much thought, and at some point, it began to exhaust me.
But I had no real interest in traditional Eastern painting materials either.
Wanting to find my own medium, I compared it to the life I had lived.
That’s when I came across thin, transparent hanji, and I began layering and projecting Western materials onto it.
The wise foolishness of trying to balance between unpredictability and predictability felt exactly like my own life.


너는 인간은 잘 알지만, 사람은 잘 모르는 것 같아.

君は人間のことはよく分かっているけど、人のことはあまり分かっていないみたいだね。

You seem to understand humans well, but not people so much.


목격하다. 경계에 서 있다. 흐려진 자아. 마주하는 순수한 인간성.

目撃する。境界に立っている。ぼやけた自我。向き合う純粋な人間性。

Witness. Standing at the boundary. Blurred self. Confronting pure humanity.


현실과 비현실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현실의 객관적 재현과 비현실적인 작가의 주관적 표현 사이에서 수많은 이야기들은 이미지화 된다.

現実と非現実の中間に位置しながら、現実の客観的な再現と非現実的な作家の主観的な表現の間で、数多くの物語がイメージ化される。

Situated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countless stories are visualized between the objective representation of reality and the subjective expression of the unreal by the artist.


창문,  거울,  프리즘

窓、 鏡、 プリズム

a window, a mirror, a prism


과거의 기억 ) 미래의 상상 ( 현재의 상황

過去の記憶 ) 未来の想像 ( 現在の状況

Past memories ) Future imaginings ( Present situation


평소 내가 보고 듣는 대화는 관념 대 관념의 틀 안에서
공감해 주고 공감해 주는 척하고, 위로해 주고 위로해 주는 척하고.
눈치 보고 눈치 보고 눈치 보고
반성하고 분노하고
무시하고 인정하고
안정되면,
반복되고

普段私が見聞きする会話は、観念と観念の枠の中で
共感し、共感しているふりをし、慰め、慰めているふりをする。
様子をうかがい、様子をうかがい、また様子をうかがい、
反省し、怒り、
無視し、認める。
安定すれば、
繰り返される

The conversations I usually see and hear take place within the confines of ideology against ideology.
Empathizing, pretending to empathize, comforting, and pretending to comfort.
Reading the room, reading the room, and reading the room again.
Reflecting and getting angry,
Ignoring and acknowledging.
When things settle down,
It repeats.


지도는 영토가 아니다.
지도는 영토보다 흥미롭다.
/ 지도는 영토다. /

地図は領土ではない。
地図は領土よりも面白い。
/ 地図は領土である。/

A map is not a territory.
A map is more interesting than the territory.
/ A map is the territory.
/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서양 문화를 보고 듣고 자랐다.
놀이터에서 흙을 파먹으며 뛰어놀다가 피시방에 가서 게임으로 날밤을 샜다.
또 무슨 빠른 년생이니 해서 나이는 동급생들보다 한 살 어린데, 그놈의 띠는 똑같고...
모든 세대가 그렇게 생각하겠지만, 나는 참 한국적인 세대라고 생각한다.

韓国で生まれたけれど、西洋の文化を見聞きして育った。
遊び場で土を食べながら走り回り、そのあとPC房に行ってゲームで徹夜した。
また「早生まれ」とかいう変な制度のせいで、同級生より一歳若いのに、干支は同じで…
どの世代もそう思うだろうけど、俺は本当に韓国的な世代だと思う。

I was born in Korea, but I grew up seeing and hearing Western culture.
I used to play in the playground, even eating dirt, then stayed up all night at the PC room playing games.
And because of that strange “early-year-born” thing, I was a year younger than my classmates, but had the same zodiac sign...
Every generation probably thinks the same, but I believe I am truly part of a very Korean generation.


주관이라는 허위를 까발려서 해체 상태로 둔다는 것.

主観という虚偽を暴いて、解体されたままにしておくということ。

To expose the falsehood of subjectivity and leave it in a dismantled state.


그냥 글이었으면 빈약한 내 상상력으로만 장면을 그려야하는데 작가가 아는 인물이니 구체화가 잘된다.
가끔은 오로지 글만 있는 문학보다 이게 나을 수도 있을 것 같다.

ただの文章だったら、貧しい自分の想像力だけで場面を思い描くしかないけれど、作家が知っている人物だから、より具体的にイメージしやすい。
時には、文字だけの文学よりも、こっちの方が良いのかもしれない。

If it were just writing, I would have to imagine the scene with my limited imagination, but since it's a person the author knows, it's easier to visualize.
Sometimes, this might even be better than literature that relies solely on words.


아주 평범한 작은 회사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다. 이제 5년 됐나?
대다수의 사람들이 하고 있는 생업 전선에 동참해 기계적으로 반복되는 일상.
사회의 틀 안에 맞춰진 그놈의 인간다움을 좀 습득해 보니 몸에 있는 타투들이 영 이상해 보인다.
어쩌다 가끔 찾아가는 미용실은 아무리 설명해 줘도 내가 매일 보는 사람들의 머리같이 잘라 준다.

めっちゃ普通の小さい会社で働いてる。もう5年くらいか?
大多数の人間と同じで、生きるための仕事戦線に参加して、機械みたいに同じ日々を繰り返す。
社会の枠に合わせた「人間らしさ」ってやつを少し身につけたら、体のタトゥーがなんかクソ変に見えてきた。
たまに行く美容室は、どんなに説明しても、毎日見る人間の髪型みたいに切りやがる。

I work at a small boring company. It’s been like 5 years now, maybe?
Joined the survival game most people do, same shit every day on repeat.
Picked up that so-called humanity inside society’s cage, now the tattoos on my body just look fucked up.
The hair salon I sometimes go to, no matter how I explain, they cut my hair like all the people I see every damn day.